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임대 수익 구조
- 건축사무소 실무
- 건축사실무
- 지속가능한설계
- 고층 피난계획
- 상가 임대건물 설계
- 건축물 내진성능 평가
- 정부지원건축
- 건물 리노베이션 허가
- roi 비교
- 농지 지목변경
- 수익형 건축기획
- 전원주택 인허가
- 스마트홈리노베이션
- 상가 건물 인허가
- 건물주 수익전략
- 건축커리어
- 수익형 건축 전략
- 건축 내진기준
- 건축 설계 투자전략
- 노후 건물 투자
- 복합건축물 인허가
- 에너지절감
- 초고층 설계기준
-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
- 건축정부지원
- 소도시 건축 투자
- 전원주택 수익률
- 상가 임대 평면 구성
- 기술사업무
- Today
- Total
목록2025/04/04 (2)
[you, slow] 10년차 건축사가 전하는 리얼 현장 노트

초고층 건물, 단순히 높이만 높다고 될까요?국내 초고층 건축 기준, 구조설계 방식, 내진·방화 설계, 인허가 전략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1. 초고층 건축물이란? 정의와 기준부터 체크하자초고층 건물이란 단순히 높이가 높은 건축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국토교통부는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초고층 건축물: 높이 50층 이상 또는 200m 이상인 건축물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지하층과 상층부가 기능적으로 연계된 대규모 복합건물📌 2025년 기준, 국내 초고층 건축물의 상당수는 주거·업무·상업·숙박 기능이 복합된 Mixed-Use Type으로 설계됩니다. 2. 초고층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구조적 요소초고층은 고정하중보다 바람, 지진, 진동이..

1. 스마트 건설 시대, 왜 IoT인가?건설현장은 여전히 위험과 안전사고에 노출된 대표 산업입니다. 특히 고층화·대형화된 현대 건설 프로젝트에서는 사소한 안전 소홀도 치명적 재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주목받는 것이 바로 IoT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입니다."IoT(사물인터넷)"는 각종 센서와 디지털 장비를 통해 현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경고할 수 있어, 위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장의 눈과 귀’ 역할을 합니다. 2. IoT 기반 건설 안전관리 플랫폼의 핵심 기능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은 단순한 알림 장치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들을 통해 현장 전체의 안전 흐름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작업자 위치추적: 안전모 또는 조끼에 부착된 GPS 센..